POSTECH, 차세대 실리콘 나노선 태양전지 개발

작성자
baekck
작성일
2017-04-20 15:54
조회
588
http://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96916

POSTECH, 차세대 실리콘 나노선 태양전지 개발
빛 흡수효율 높인‘비대칭’ 구조가 해답, 기존 평판 전지보다 2.7배 효과적

296916_164682_2624.jpg

POSTECH(포항공과대학교)이 기존에 상용화된 평판 태양전지보다 효율을 2배 이상 늘린 차세대 비대칭형 수직 실리콘 나노선(Nanowire)1 태양전지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POSTECH 창의IT융합공학과 백창기․임태욱교수, 미래IT융합연구원 김기현박사 연구팀은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를 통해 상용 평판 태양전지 보다 최대 2.7배, 기존 나노선 태양전지보다는 최대 1.4배 효율을 끌어 올린 비대칭형 수직 실리콘 나노선 태양전지 기술을 발표했다.

세계반도체무역통계기구(WSTS) 등 자료에 따르면, 2015년을 기점으로 태양전지 세계시장 규모가 메모리 반도체 사업 시장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태양광을 전기로 변환하는 태양전지 원천기술 확보가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수직으로 정렬된 나노선을 이용한 고효율 태양전지 개발에 학계의 관심이 모이는 것은 양자효과로 인해 빛의 전력 변환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존 나노선의 가느다란 구조 특성 때문에 빛의 흡수 효율을 일정 수준 이상 높이는 것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POSTECH 연구팀은 기존 나노선의 효율을 한층 더 높이는 방법에 집중했다. 그 결과 나노선의 상단부 직경을 넓게 하고 하단부 직경을 좁게 만드는 비대칭 구조로 설계하면 반사율이 높아져 태양전지가 빛을 흡수하는 양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로 차세대 태양전지 기술을 확보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개발된 기술은 국내 실리콘 반도체 공정 기술인 하향식(Top-down) 공법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어 제작 단가를 낮추면서도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연구팀은 나노선 태양전지 기술 확보 과정에서 수직 나노선 어레이 제작기술에 대한 다양한 원천특허(국내등록: 4건, 국제출원: 9건)를 보유하게 돼, 하향식 나노선 기술을 기반으로 한 저가 차세대 실리콘 열전소자(Thermoelectric device) 및 광소자(Photo-detector device) 기술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

백창기 교수는 "경제적이면서 효율도 높은 태양전지를 대량생산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돼 향후 태양전지 산업에 다각도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체 159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159
포스텍, 반도체 표면가공 기술로 친환경 열전기술 상용화 앞당겨
baekck | 2023.11.29 | 추천 1 | 조회 1251
baekck 2023.11.29 1 1251
158
포스텍, 열전 반도체에 실리콘 활용기술 개발
baekck | 2023.11.29 | 추천 1 | 조회 1158
baekck 2023.11.29 1 1158
157
포스텍 연구팀 반도체 표면 가공 기술로 친환경 열전기술 상용화 앞당겨
baekck | 2023.11.29 | 추천 0 | 조회 1121
baekck 2023.11.29 0 1121
156
포스텍, 실리콘 기반 친환경 열전 반도체 소재 개발
baekck | 2023.11.29 | 추천 0 | 조회 1202
baekck 2023.11.29 0 1202
155
POSTECH 연구팀, 반도체 표면 가공 기술로 친환경 열전기술 상용화 앞당겨
baekck | 2023.11.29 | 추천 0 | 조회 1050
baekck 2023.11.29 0 1050
154
POSTECH 백창기 교수 연구팀, 고감도 경량화 불산 검출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1055
baekck 2023.07.20 0 1055
153
POSTECH 백창기 교수 연구팀, 고감도 경량화 불산 검출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898
baekck 2023.07.20 0 898
152
뼈 녹일 수 있는 '불산' 감지하는 고감도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1359
baekck 2023.07.20 0 1359
151
되풀이되는 악몽... '죽음의 가스'를 막아라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1060
baekck 2023.07.20 0 1060
150
POSTECH 백창기 교수 연구팀, 고감도 경량화 불산 검출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1124
baekck 2023.07.20 0 1124
149
POSTECH 백창기 교수 연구팀, 고감도 경량화 불산 검출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479
baekck 2023.07.20 0 479
148
반복되는 가스누출 악몽 지운다…포스텍, 초미량 ‘불산’ 잡아내는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387
baekck 2023.07.20 0 387
147
죽음의 가스 막아라…고감도 초경량 불산 검출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500
baekck 2023.07.20 0 500
146
죽음의 가스...불산 감지 초경량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508
baekck 2023.07.20 0 508
145
포스텍, 초경량·고감도 불산 검출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399
baekck 2023.07.20 0 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