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불산사고 재연 없다`… 유독물질 누출 5초 만에 감지

작성자
baekck
작성일
2018-11-08 11:25
조회
693
http://www.kbsm.net/default/index_view_page.php?idx=220377&part_idx=320

`구미 불산사고 재연 없다`… 유독물질 누출 5초 만에 감지

포스텍 연구팀,원천센서 개발
실리콘 재료·반도체 기술 이용
적은 양 노출도 바로 감지 가능
기존 대비 검출한계 20배 향상


↑↑ 좌로부터 포스텍 백창기 교수와 김기현 교수 <사진=포스텍>

포스텍(총장 김도연)은 창의IT융합공학과 백창기 교수·김기현 교수·박사과정 조현수 씨 연구팀이 산업 현장에서 극미량의 불소와 불산 등 유독물질을 5초만에 감지할 수 있는 원천센서기술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불소와 불산은 철강과 화학,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산업 전반의 생산 공정에서 핵심 물질로 활용되고 있지만 대표적인 유독물질이기도 하다.

지난 2012년 구미의 불산 누출사고는 인명 피해는 물론 반경 700m 이내 지역이 초토화되는 무서운 결과를 초래했다.

이처럼 불소·불산은 누출되자마자 바로 조치해야 확산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적은 양의 노출도 바로 감지할 수 있는 민감한 센서 개발이 꼭 필요하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그 동안 국내에서는 무색무취로 조기 감지가 쉽지 않은 불소와 불산을 감지하기 위해 다결정 감지막과 산화물 반도체 소자를 활용했다.

하지만 원천 기술 부족으로 핵심 센서의 대부분을 수입하고 있고 제조공정이 복잡한 데다 생산비용도 비싸 산업 현장에서 활용하기가 쉽지 않은 단점이 상존해 왔다. 이에 연구팀은 실리콘 재료를 활용하고 반도체 공정 기술을 이용해 불소·불산 센서를 제작했다. 열증착 기법을 최적화해 다결정 불소·불산 감지막(poly LaF3)의 화학적·물리적 성질을 개선해 수중에 존재하는 불소와 불산을 우수한 검출한계(불소:1.9pbb, 불산: 4.5 ppb)로 검출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기존의 다결정 감지막 기반의 불소센서 대비 검출한계가 약 20배 이상 향상된 것이다.

이 기술은 실리콘과 반도체 공정 기술을 활용했기 때문에 대량 생산이 쉽고, 0.2㎟의 작은 크기여서 초소형 센서와 모바일 센서로 개발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임성남 기자 / snlim4884@naver.com

 
전체 0

전체 159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129
모래시계 구조 원리로 빛 샐 틈 없이 흡수한다
baekck | 2019.11.07 | 추천 0 | 조회 1352
baekck 2019.11.07 0 1352
128
POSTECH 백창기연구팀, 실리콘 재료와 반도체 공정을 활용한 고감응도 수직 실리콘 나노선 제시
baekck | 2019.11.07 | 추천 0 | 조회 1225
baekck 2019.11.07 0 1225
127
포스텍 연구팀, 광검출센서 개발 성공
baekck | 2019.11.07 | 추천 0 | 조회 1179
baekck 2019.11.07 0 1179
126
포스텍, 빛 흡수 효율 높이는 모래시계구조 수직 실리콘 나노선 개발
baekck | 2019.11.07 | 추천 0 | 조회 960
baekck 2019.11.07 0 960
125
포스텍 연구팀, 모래시계형 나노선 광센서 개발
baekck | 2019.11.07 | 추천 0 | 조회 861
baekck 2019.11.07 0 861
124
포스텍 백창기 교수팀, 모래시계구조 원리 이용해 '나노선 광센서' 개발
baekck | 2019.11.07 | 추천 0 | 조회 1010
baekck 2019.11.07 0 1010
123
“빛 샐 틈 없는 광흡수” 모래시계형 나노선 광센서 개발
baekck | 2019.11.07 | 추천 0 | 조회 835
baekck 2019.11.07 0 835
122
[YTN사이언스] ICT 미래인재 포럼 "미래를 선도할 과학기술 연구"
baekck | 2019.06.11 | 추천 0 | 조회 1100
baekck 2019.06.11 0 1100
121
에스넷과 포항공대 연구팀, 열전발전 모듈 특성평가 장비 개발에 성공
baekck | 2019.06.11 | 추천 0 | 조회 947
baekck 2019.06.11 0 947
120
에스넷과 포항공대 백창기 교수팀 ‘열전모듈 신뢰성 분석 및 실시간 고장 진단 기술 개발’
baekck | 2019.06.11 | 추천 0 | 조회 799
baekck 2019.06.11 0 799
119
[MBC뉴스] 폐열 반도체로 전기 생산..화력발전 대체
baekck | 2019.04.09 | 추천 0 | 조회 1321
baekck 2019.04.09 0 1321
118
포스텍 백창기 교수팀, 에너지 절감ㆍ온실가스 저감기술 상용화 ‘기대’
baekck | 2019.04.05 | 추천 0 | 조회 1011
baekck 2019.04.05 0 1011
117
포스텍 백창기 교수, 고성능 실리콘 열전소자 대량생산 기술 개발
baekck | 2019.04.05 | 추천 0 | 조회 1383
baekck 2019.04.05 0 1383
116
포스텍 연구팀, 버려지는 폐열 에너지 회수용 고성능 실리콘 나노선 열전소자 구현 성공
baekck | 2019.04.05 | 추천 0 | 조회 963
baekck 2019.04.05 0 963
115
친환경 소재 ‘열전소자’ 대량생산 기술 개발
baekck | 2019.04.05 | 추천 0 | 조회 649
baekck 2019.04.05 0 6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