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선도기술개발사업」 개방형 기획 기술교류회 개최

작성자
baekck
작성일
2018-04-16 16:39
조회
1055
http://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262733

「미래선도기술개발사업」 개방형 기획 기술교류회 개최

“함께 과제를 수행할 연구자를 찾습니다!”
- 과기정통부,「미래선도기술개발사업」개방형 기획 기술교류회 개최 -

◇ 미래선도기술개발사업(신시장창출형) 先기획연구를 위한 개방형 크라우드(Open Crowd) 기획 기술교류회를 개최하여 집단지성을 통한 연구 발전방향 모색
◇ 산학연 연구자, 일반국민 등 150여 명이 참석하여 개방형 소통․교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미래선도기술개발 신시장창출형사업 선(先)기획연구 추진을 위한 개방형 크라우드(Open Crowd) 기획 기술교류회를4월 6일(금) 양재 엘타워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ㅇ 개방형 크라우드(Open Crowd) 기획은 집단지성을 통해 과제를 공동으로 기획하는 방식으로, 온․오프라인상 교류를 통해 연구과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향후 본 연구를 함께 수행할 연구자를 탐색하는 방식이다.
ㅇ 이는 지난 해 과기정통부가 발표한 ‘R&D 프로세스 혁신방안*’에서 제시된 개념으로, 현장의 수요를 기반으로 연구과제를 함께 발전시켜 연구 기획단계의 혁신을 위한 것으로 이번 사업에서 처음 시행하게 되었다.
*「과제기획/선정/평가/보상 프로세스혁신방안(과기정통부)」(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 ’17.11)
□ 한편, 미래선도기술개발신시장창출형 사업은 미래사회를 선도하는 융합 신산업․신시장 창출을 위한 기술, 제품․서비스 개발 및 상용화를 목적으로 하며,
ㅇ 창의적․혁신적 연구개발 분야를 대상으로 지난 3월 선(先)기획연구 10개 과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과제의 연구자들은 6개월 간 개방형 크라우드(Open Crowd) 방식을 통해 연구를 기획하며, 본 연구단계 진입 시 이 중 4개 내외 과제를 선정할 계획(경쟁형 R&D)이다.
ㅇ 2018년도 미래선도기술개발 신시장창출형사업 선(先)기획연구과제로 선정된 과제는 다음과 같다.

연번 연구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1 악성종양의 선택적 광역학 치료를 위한 체내 삽입형 마이크로 LED 융합기술 개발 서울아산병원 박도현
2 하이브리드 모드로 자동혈당 조절 가능한 일회용 웨어러블 인공췌장 펌프 개발 이오플로우 주식회사 김재진
3 나노융합 전자빔 기반 자외선 C 플랫폼 기술 개발 경희대학교 박규창
4 자율주행차량용 저조도·고감도 근적외선센서 핵심기술 개발 포항공과대학교 백창기
5 안전하고 활용도 높은 환경적응형 고층빌딩 외벽청소 로봇 기획 연구 한양대학교 서태원
6 광흡수층을 포함하는 광감응 자동 색변환 스마트 윈도우 개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치환
7 실내 환경 내 위해 미생물 및 바이러스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광주과학기술원 김민곤
8 반투과 및 색상구현이 자유로운 디지털 사이니지 태양전지 개발 중앙대학교 홍종인
9 콘크리트 건축물 제작을 위한 3D프린터 장비 및 소재 개발 한양대학교 조병완
10 3차원 테라헤르츠 비파괴 검사시스템 상용 기술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박경현
□ 김정원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미래선도기술개발사업에 대한현장의 호응이 매우 높아, 이번 개방형 기획 기술교류회를 통해 국민의 수요와 다양한 집단지성을 기반으로 연구과제를 발전시켜 나아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ㅇ “향후 개방형 크라우드 기획 방식을 적용하는 연구과제를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한편, 미래선도기술개발사업은 경쟁형 연구개발(R&D) 방식으로 진행되며, 신시장창출형사업 선(先)기획연구가 종료된 이후 본연구 단계에 진입할 4개 내외 과제를 올해 10월경 선정할 계획이다.

전체 0

전체 159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114
반도체 공정 기반 대량생산 가능 실리콘 나노선 열전소자 기술 개발
baekck | 2019.04.05 | 추천 0 | 조회 801
baekck 2019.04.05 0 801
113
실리콘 열전소자 대량생산 기술 개발
baekck | 2019.04.05 | 추천 0 | 조회 1032
baekck 2019.04.05 0 1032
112
포스텍 연구팀, 고성능 실리콘 열전소자 구현 성공
baekck | 2019.04.05 | 추천 0 | 조회 725
baekck 2019.04.05 0 725
111
포스텍 연구팀, 반도체 공정 기반 실리콘 열전소자 대량생산 기술 개발
baekck | 2019.04.05 | 추천 0 | 조회 626
baekck 2019.04.05 0 626
110
포스텍, 기존 반도체 공정 활용해 열전소자 대량생산 기술 개발
baekck | 2019.04.05 | 추천 0 | 조회 796
baekck 2019.04.05 0 796
109
포스텍 백창기 교수팀, 폐열로 고성능 실리콘 나노선 열전소자 구현
baekck | 2019.04.05 | 추천 0 | 조회 723
baekck 2019.04.05 0 723
108
포스텍, 반도체 공정 기반 실리콘 열전소자 대량생산 기술 개발
baekck | 2019.04.05 | 추천 0 | 조회 931
baekck 2019.04.05 0 931
107
포스텍, 유독물질 감지센서 개발
baekck | 2018.11.08 | 추천 0 | 조회 780
baekck 2018.11.08 0 780
106
불산누출사고 막을 센서원천기술 개발
baekck | 2018.11.08 | 추천 0 | 조회 814
baekck 2018.11.08 0 814
105
포스텍 연구팀, 불소·불산 누출 조기 감지 기술개발
baekck | 2018.11.08 | 추천 0 | 조회 748
baekck 2018.11.08 0 748
104
제 2의 구미 불산사고 막는다
baekck | 2018.11.08 | 추천 0 | 조회 856
baekck 2018.11.08 0 856
103
불산 누출 5초만에 감지하는 센서 개발
baekck | 2018.11.08 | 추천 0 | 조회 862
baekck 2018.11.08 0 862
102
포스텍, 극미량 유독물질 감지 열증착 기법 원천센서기술 개발
baekck | 2018.11.08 | 추천 0 | 조회 713
baekck 2018.11.08 0 713
101
불소 등 누출 5초 만에 감지하는 센서 개발
baekck | 2018.11.08 | 추천 0 | 조회 711
baekck 2018.11.08 0 711
100
포스텍 백창기 교수팀, 저가·고성능 신속 정확한 센서 개발 기대
baekck | 2018.11.08 | 추천 0 | 조회 637
baekck 2018.11.08 0 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