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는 2018 대한민국 ICT융합 엑스포] 포스텍, 실리콘 기반 폐열회수 열전모듈 및 열전발전 상용화 시스템 기술 선보인다
작성자
baekck
작성일
2018-08-20 12:01
조회
1161
http://kr.aving.net/news/view.php?articleId=1408529&Branch_ID=kr&rssid=naver&mn_name=news
[미리보는 2018 대한민국 ICT융합 엑스포] 포스텍, 실리콘 기반 폐열회수 열전모듈 및 열전발전 상용화 시스템 기술 선보인다

(사진 설명: 하향식 반도체 ICT기술 기반 실리콘 열전소자 칩 및 실리콘 열전모듈)
포스텍(포항공과대학교, 총장 김도연)은 오는 9월 13일(목)부터 15일(토)까지 대구 엑스코(EXCO)에서 열리는 '2018 대한민국 ICT 융합 엑스포'에 참가해 실리콘 기반의 폐열회수 열전모듈 및 열전발전 상용화 시스템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포스텍이 이번 엑스포에서 소개할 '열전발전'은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직접 변환하는 기술로 고온과 저온 사이 온도 차에 의해 열이 이동하려는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원리로 구현된다. 이 기술은 신재생 에너지 후보 기술 중 하나로 공정상 불가피하게 버려지는 에너지인 폐열을 회수해 전기를 생성함으로써 에너지 소비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태양열, 지열, 도시배열, 해양 온도 차 등 자연 에너지원으로 전기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최근 국제적으로 크게 주목받고 있다. 또한 '열전발전'은 태양광 및 풍력과 달리 24시간 발전시킬 수 있어 출력 안전성이 높고 발전량 예측이 가능한 무소음, 무진동, 무탄소 친환경 기술로 유지보수가 거의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
포스텍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지원하는 '스마트 산업에너지 ICT융합컨소시엄' 사업을 통해 개발한 반도체 ICT 원천기술을 활용한 하향식 '실리콘 열전모듈'을 이용해 폐열 회수용 열전발전 시스템 구축 및 상용화를 목표로 한다.

(사진 설명: 실리콘 수직 나노선 열전소자 (8inch Wafer))
백창기 포스텍 교수는 "실리콘 반도체 기술 기반 '열전발전' 기술은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도전하는 신에너지 기술로서 철강, 열화학 공정 폐열 에너지의 재활용 및 자립화가 필요한 공장과 지역에너지 발전 사업에 적용, 국가 분산전력망으로 활용할 수 있다"며 "미래에는 가정용 보일러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이어 "국산 친환경 신에너지기술 개발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 감축, 에너지 효율 향상에 기여하고 에너지 신시장을 선점해 신산업 창출 및 신규 일자리 마련에 기여할 것이다"며 향후 사업 방향을 밝혔다.
한편 '2018대한민국 ICT융합 엑스포'는 국내 최대 IT/모바일 융복합 산업 집적지역인 대구에서 열리는 대표적인 IT전시회로 모바일, 소프트웨어, 3D 및 디스플레이, 스마트카, 스마트워크, 스마트헬스케어 등의 제품들이 전시되며, IT융복합 기술 관련 학술세미나, 수출상담회, 기술세미나, 투자설명회 등 다양한 세미나도 함께 진행된다.

(사진 설명: 상용 열전소자, 국산 실리콘 열전소자 비교 실험)
[미리보는 2018 대한민국 ICT융합 엑스포] 포스텍, 실리콘 기반 폐열회수 열전모듈 및 열전발전 상용화 시스템 기술 선보인다

(사진 설명: 하향식 반도체 ICT기술 기반 실리콘 열전소자 칩 및 실리콘 열전모듈)
포스텍(포항공과대학교, 총장 김도연)은 오는 9월 13일(목)부터 15일(토)까지 대구 엑스코(EXCO)에서 열리는 '2018 대한민국 ICT 융합 엑스포'에 참가해 실리콘 기반의 폐열회수 열전모듈 및 열전발전 상용화 시스템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포스텍이 이번 엑스포에서 소개할 '열전발전'은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직접 변환하는 기술로 고온과 저온 사이 온도 차에 의해 열이 이동하려는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원리로 구현된다. 이 기술은 신재생 에너지 후보 기술 중 하나로 공정상 불가피하게 버려지는 에너지인 폐열을 회수해 전기를 생성함으로써 에너지 소비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태양열, 지열, 도시배열, 해양 온도 차 등 자연 에너지원으로 전기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최근 국제적으로 크게 주목받고 있다. 또한 '열전발전'은 태양광 및 풍력과 달리 24시간 발전시킬 수 있어 출력 안전성이 높고 발전량 예측이 가능한 무소음, 무진동, 무탄소 친환경 기술로 유지보수가 거의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
포스텍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지원하는 '스마트 산업에너지 ICT융합컨소시엄' 사업을 통해 개발한 반도체 ICT 원천기술을 활용한 하향식 '실리콘 열전모듈'을 이용해 폐열 회수용 열전발전 시스템 구축 및 상용화를 목표로 한다.

(사진 설명: 실리콘 수직 나노선 열전소자 (8inch Wafer))
백창기 포스텍 교수는 "실리콘 반도체 기술 기반 '열전발전' 기술은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도전하는 신에너지 기술로서 철강, 열화학 공정 폐열 에너지의 재활용 및 자립화가 필요한 공장과 지역에너지 발전 사업에 적용, 국가 분산전력망으로 활용할 수 있다"며 "미래에는 가정용 보일러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이어 "국산 친환경 신에너지기술 개발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 감축, 에너지 효율 향상에 기여하고 에너지 신시장을 선점해 신산업 창출 및 신규 일자리 마련에 기여할 것이다"며 향후 사업 방향을 밝혔다.
한편 '2018대한민국 ICT융합 엑스포'는 국내 최대 IT/모바일 융복합 산업 집적지역인 대구에서 열리는 대표적인 IT전시회로 모바일, 소프트웨어, 3D 및 디스플레이, 스마트카, 스마트워크, 스마트헬스케어 등의 제품들이 전시되며, IT융복합 기술 관련 학술세미나, 수출상담회, 기술세미나, 투자설명회 등 다양한 세미나도 함께 진행된다.

(사진 설명: 상용 열전소자, 국산 실리콘 열전소자 비교 실험)
전체 0
전체 154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109 |
포스텍 백창기 교수팀, 폐열로 고성능 실리콘 나노선 열전소자 구현
baekck
|
2019.04.05
|
추천 0
|
조회 689
|
baekck | 2019.04.05 | 0 | 689 |
108 |
포스텍, 반도체 공정 기반 실리콘 열전소자 대량생산 기술 개발
baekck
|
2019.04.05
|
추천 0
|
조회 891
|
baekck | 2019.04.05 | 0 | 891 |
107 |
포스텍, 유독물질 감지센서 개발
baekck
|
2018.11.08
|
추천 0
|
조회 753
|
baekck | 2018.11.08 | 0 | 753 |
106 |
불산누출사고 막을 센서원천기술 개발
baekck
|
2018.11.08
|
추천 0
|
조회 786
|
baekck | 2018.11.08 | 0 | 786 |
105 |
포스텍 연구팀, 불소·불산 누출 조기 감지 기술개발
baekck
|
2018.11.08
|
추천 0
|
조회 719
|
baekck | 2018.11.08 | 0 | 719 |
104 |
제 2의 구미 불산사고 막는다
baekck
|
2018.11.08
|
추천 0
|
조회 825
|
baekck | 2018.11.08 | 0 | 825 |
103 |
불산 누출 5초만에 감지하는 센서 개발
baekck
|
2018.11.08
|
추천 0
|
조회 836
|
baekck | 2018.11.08 | 0 | 836 |
102 |
포스텍, 극미량 유독물질 감지 열증착 기법 원천센서기술 개발
baekck
|
2018.11.08
|
추천 0
|
조회 683
|
baekck | 2018.11.08 | 0 | 683 |
101 |
불소 등 누출 5초 만에 감지하는 센서 개발
baekck
|
2018.11.08
|
추천 0
|
조회 686
|
baekck | 2018.11.08 | 0 | 686 |
100 |
포스텍 백창기 교수팀, 저가·고성능 신속 정확한 센서 개발 기대
baekck
|
2018.11.08
|
추천 0
|
조회 608
|
baekck | 2018.11.08 | 0 | 608 |
99 |
불소·불산 ‘5초 만에 감지’ 기술 개발
baekck
|
2018.11.08
|
추천 0
|
조회 779
|
baekck | 2018.11.08 | 0 | 779 |
98 |
`구미 불산사고 재연 없다`… 유독물질 누출 5초 만에 감지
baekck
|
2018.11.08
|
추천 0
|
조회 667
|
baekck | 2018.11.08 | 0 | 667 |
97 |
포스텍 연구팀, 누출된 유독물질 5초만에 감지 기술 개발
baekck
|
2018.11.08
|
추천 0
|
조회 612
|
baekck | 2018.11.08 | 0 | 612 |
96 |
불산 누출 5초 만에 감지센서 개발…구미 불산 사고 재연 없다
baekck
|
2018.11.08
|
추천 0
|
조회 672
|
baekck | 2018.11.08 | 0 | 672 |
95 |
"제2의 구미 불산사고 막는다"…누출 5초 만에 감지센서 개발
baekck
|
2018.11.08
|
추천 0
|
조회 746
|
baekck | 2018.11.08 | 0 | 7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