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텍 백창기 교수팀, 에너지 하베스팅 반도체 ICT 신기술 성황리에 시연
작성자
baekck
작성일
2018-04-16 16:01
조회
632
http://www.kukinews.com/news/article.html?no=532559
포스텍 백창기 교수팀, 에너지 하베스팅 반도체 ICT 신기술 성황리에 시연
- 실리콘 나노 반도체 열전소자 및 시스템 시연 직접 선보여

스마트 산업에너지 ICT 융합컨소시엄 사업으로 미이용 폐열을 활용해 발전시스템 상용화에 나선 포스텍 백창기 교수팀이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SWEET 2018 현장에서 성황리에 연구성과 시연을 끝마쳤다고 전했다.
포스텍 전시부스에서 실리콘 나노 반도체 열전소자 및 시스템을 시연한 백창기 교수팀은 세계 최초로 실리콘 기반의 열전발전 자동화 시스템 개발 및 상용화를 목표로 연구에 임하고 있다.
이는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미이용 폐열의 회수를 통해 전기를 만들어내 친환경적일뿐만 아니라 신 에너지 기술 개발 및 에너지 산업 창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신 재생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는 열전발전은 에너지 소비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자연 에너지원에서도 전기를 얻을 수 있으며, 출력안정성이 높고 에너지 발전량 예측이 가능하다.
백창기 교수팀은 지난 해 스마트 산업에너지 ICT 융합 컨소시엄 사업으로 해당 연구에 착수하였으며, 반도체 ICT 원천기술을 활용해 하향식 실리콘 열전모듈을 이용한 폐열 회수용 열전발전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할 예정이다.
백창기 교수는 “열전발전은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로써 장점뿐만 아니라 대량의 에너지가 필요한 공장이나 지역에너지 발전사업에 적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가정용 보일러까지 활용 범위를 넓혀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한편, SWEET 2018은 신재생에너지 기업의 네트워크 형성 및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하는 전시회로 3월 14일부터 3일간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되었다.
포스텍 NEST 센터는 파워큐브세미(주), (주)경원이앤씨, (주)티에스이에스, (주)아트웨어, (주)엔키아 등 5개 수행 중소기업과 수요기관인 (주)씨엔씨티, RIST(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에스피파트너스와 함께 전시하였으며, 국내 에너지 관련 공기업들의 관심을 받았다.
노상우 기자 nswreal@kukinews.com
포스텍 백창기 교수팀, 에너지 하베스팅 반도체 ICT 신기술 성황리에 시연
- 실리콘 나노 반도체 열전소자 및 시스템 시연 직접 선보여

스마트 산업에너지 ICT 융합컨소시엄 사업으로 미이용 폐열을 활용해 발전시스템 상용화에 나선 포스텍 백창기 교수팀이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SWEET 2018 현장에서 성황리에 연구성과 시연을 끝마쳤다고 전했다.
포스텍 전시부스에서 실리콘 나노 반도체 열전소자 및 시스템을 시연한 백창기 교수팀은 세계 최초로 실리콘 기반의 열전발전 자동화 시스템 개발 및 상용화를 목표로 연구에 임하고 있다.
이는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미이용 폐열의 회수를 통해 전기를 만들어내 친환경적일뿐만 아니라 신 에너지 기술 개발 및 에너지 산업 창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신 재생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는 열전발전은 에너지 소비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자연 에너지원에서도 전기를 얻을 수 있으며, 출력안정성이 높고 에너지 발전량 예측이 가능하다.
백창기 교수팀은 지난 해 스마트 산업에너지 ICT 융합 컨소시엄 사업으로 해당 연구에 착수하였으며, 반도체 ICT 원천기술을 활용해 하향식 실리콘 열전모듈을 이용한 폐열 회수용 열전발전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할 예정이다.
백창기 교수는 “열전발전은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로써 장점뿐만 아니라 대량의 에너지가 필요한 공장이나 지역에너지 발전사업에 적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가정용 보일러까지 활용 범위를 넓혀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한편, SWEET 2018은 신재생에너지 기업의 네트워크 형성 및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하는 전시회로 3월 14일부터 3일간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되었다.
포스텍 NEST 센터는 파워큐브세미(주), (주)경원이앤씨, (주)티에스이에스, (주)아트웨어, (주)엔키아 등 5개 수행 중소기업과 수요기관인 (주)씨엔씨티, RIST(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에스피파트너스와 함께 전시하였으며, 국내 에너지 관련 공기업들의 관심을 받았다.
노상우 기자 nswreal@kukinews.com
전체 0
전체 159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99 |
불소·불산 ‘5초 만에 감지’ 기술 개발
baekck
|
2018.11.08
|
추천 0
|
조회 812
|
baekck | 2018.11.08 | 0 | 812 |
98 |
`구미 불산사고 재연 없다`… 유독물질 누출 5초 만에 감지
baekck
|
2018.11.08
|
추천 0
|
조회 692
|
baekck | 2018.11.08 | 0 | 692 |
97 |
포스텍 연구팀, 누출된 유독물질 5초만에 감지 기술 개발
baekck
|
2018.11.08
|
추천 0
|
조회 635
|
baekck | 2018.11.08 | 0 | 635 |
96 |
불산 누출 5초 만에 감지센서 개발…구미 불산 사고 재연 없다
baekck
|
2018.11.08
|
추천 0
|
조회 698
|
baekck | 2018.11.08 | 0 | 698 |
95 |
"제2의 구미 불산사고 막는다"…누출 5초 만에 감지센서 개발
baekck
|
2018.11.08
|
추천 0
|
조회 766
|
baekck | 2018.11.08 | 0 | 766 |
94 |
유독물질 5초안에 감지하는 기술 개발...포스텍 백창기 교수팀
baekck
|
2018.11.08
|
추천 0
|
조회 685
|
baekck | 2018.11.08 | 0 | 685 |
93 |
포스텍 백창기 교수팀, 극미량 불소·불산 5초 만에 감지 '원천센서기술' 개발
baekck
|
2018.11.08
|
추천 0
|
조회 695
|
baekck | 2018.11.08 | 0 | 695 |
92 |
포스텍, 불소·불산 5초 만에 감지하는 원천센서기술 개발
baekck
|
2018.11.08
|
추천 0
|
조회 732
|
baekck | 2018.11.08 | 0 | 732 |
91 |
[미리보는 2018 대한민국 ICT융합 엑스포] 포스텍, 실리콘 기반 폐열회수 열전모듈 및 열전발전 상용화 시스템 기술 선보인다
baekck
|
2018.08.20
|
추천 0
|
조회 1188
|
baekck | 2018.08.20 | 0 | 1188 |
90 |
[ICT 명품인재 양성사업]포스텍, 세계 센서 시장 판도 바꿀 실리콘 나노 반도체 기반 센서 개발
baekck
|
2018.07.02
|
추천 1
|
조회 788
|
baekck | 2018.07.02 | 1 | 788 |
89 |
석학도 못푼 과제… 젊은 과학자들 ‘융합연구’로 풀다
baekck
|
2018.05.25
|
추천 0
|
조회 768
|
baekck | 2018.05.25 | 0 | 768 |
88 |
과학기술 분야간 연구 장벽 허문다…융합 R&D 활성화
baekck
|
2018.05.25
|
추천 0
|
조회 823
|
baekck | 2018.05.25 | 0 | 823 |
87 |
폐열회수, 에너지 절감과 온실가스 감축 모델로 각광
baekck
|
2018.05.23
|
추천 0
|
조회 2342
|
baekck | 2018.05.23 | 0 | 2342 |
86 |
구글도 못 만든 자율주행 자전거 만든 대학생
baekck
|
2018.05.23
|
추천 0
|
조회 1309
|
baekck | 2018.05.23 | 0 | 1309 |
85 |
구글도 장난만 쳐본 혼자 중심잡는 자율주행 자전거, 포항서 영재 출신 대학생이 완성단계
baekck
|
2018.05.23
|
추천 0
|
조회 1201
|
baekck | 2018.05.23 | 0 | 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