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선도기술개발사업」 개방형 기획 기술교류회 개최
작성자
baekck
작성일
2018-04-16 16:39
조회
1462
http://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262733
「미래선도기술개발사업」 개방형 기획 기술교류회 개최
“함께 과제를 수행할 연구자를 찾습니다!”
- 과기정통부,「미래선도기술개발사업」개방형 기획 기술교류회 개최 -
◇ 미래선도기술개발사업(신시장창출형) 先기획연구를 위한 개방형 크라우드(Open Crowd) 기획 기술교류회를 개최하여 집단지성을 통한 연구 발전방향 모색
◇ 산학연 연구자, 일반국민 등 150여 명이 참석하여 개방형 소통․교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미래선도기술개발 신시장창출형사업 선(先)기획연구 추진을 위한 개방형 크라우드(Open Crowd) 기획 기술교류회를4월 6일(금) 양재 엘타워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ㅇ 개방형 크라우드(Open Crowd) 기획은 집단지성을 통해 과제를 공동으로 기획하는 방식으로, 온․오프라인상 교류를 통해 연구과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향후 본 연구를 함께 수행할 연구자를 탐색하는 방식이다.
ㅇ 이는 지난 해 과기정통부가 발표한 ‘R&D 프로세스 혁신방안*’에서 제시된 개념으로, 현장의 수요를 기반으로 연구과제를 함께 발전시켜 연구 기획단계의 혁신을 위한 것으로 이번 사업에서 처음 시행하게 되었다.
*「과제기획/선정/평가/보상 프로세스혁신방안(과기정통부)」(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 ’17.11)
□ 한편, 미래선도기술개발신시장창출형 사업은 미래사회를 선도하는 융합 신산업․신시장 창출을 위한 기술, 제품․서비스 개발 및 상용화를 목적으로 하며,
ㅇ 창의적․혁신적 연구개발 분야를 대상으로 지난 3월 선(先)기획연구 10개 과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과제의 연구자들은 6개월 간 개방형 크라우드(Open Crowd) 방식을 통해 연구를 기획하며, 본 연구단계 진입 시 이 중 4개 내외 과제를 선정할 계획(경쟁형 R&D)이다.
ㅇ 2018년도 미래선도기술개발 신시장창출형사업 선(先)기획연구과제로 선정된 과제는 다음과 같다.
□
□ 김정원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미래선도기술개발사업에 대한현장의 호응이 매우 높아, 이번 개방형 기획 기술교류회를 통해 국민의 수요와 다양한 집단지성을 기반으로 연구과제를 발전시켜 나아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ㅇ “향후 개방형 크라우드 기획 방식을 적용하는 연구과제를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한편, 미래선도기술개발사업은 경쟁형 연구개발(R&D) 방식으로 진행되며, 신시장창출형사업 선(先)기획연구가 종료된 이후 본연구 단계에 진입할 4개 내외 과제를 올해 10월경 선정할 계획이다.
□
「미래선도기술개발사업」 개방형 기획 기술교류회 개최
“함께 과제를 수행할 연구자를 찾습니다!”
- 과기정통부,「미래선도기술개발사업」개방형 기획 기술교류회 개최 -
◇ 미래선도기술개발사업(신시장창출형) 先기획연구를 위한 개방형 크라우드(Open Crowd) 기획 기술교류회를 개최하여 집단지성을 통한 연구 발전방향 모색
◇ 산학연 연구자, 일반국민 등 150여 명이 참석하여 개방형 소통․교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미래선도기술개발 신시장창출형사업 선(先)기획연구 추진을 위한 개방형 크라우드(Open Crowd) 기획 기술교류회를4월 6일(금) 양재 엘타워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ㅇ 개방형 크라우드(Open Crowd) 기획은 집단지성을 통해 과제를 공동으로 기획하는 방식으로, 온․오프라인상 교류를 통해 연구과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향후 본 연구를 함께 수행할 연구자를 탐색하는 방식이다.
ㅇ 이는 지난 해 과기정통부가 발표한 ‘R&D 프로세스 혁신방안*’에서 제시된 개념으로, 현장의 수요를 기반으로 연구과제를 함께 발전시켜 연구 기획단계의 혁신을 위한 것으로 이번 사업에서 처음 시행하게 되었다.
*「과제기획/선정/평가/보상 프로세스혁신방안(과기정통부)」(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 ’17.11)
□ 한편, 미래선도기술개발신시장창출형 사업은 미래사회를 선도하는 융합 신산업․신시장 창출을 위한 기술, 제품․서비스 개발 및 상용화를 목적으로 하며,
ㅇ 창의적․혁신적 연구개발 분야를 대상으로 지난 3월 선(先)기획연구 10개 과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과제의 연구자들은 6개월 간 개방형 크라우드(Open Crowd) 방식을 통해 연구를 기획하며, 본 연구단계 진입 시 이 중 4개 내외 과제를 선정할 계획(경쟁형 R&D)이다.
ㅇ 2018년도 미래선도기술개발 신시장창출형사업 선(先)기획연구과제로 선정된 과제는 다음과 같다.
□
연번 | 연구과제명 | 주관연구기관 | 연구책임자 |
1 | 악성종양의 선택적 광역학 치료를 위한 체내 삽입형 마이크로 LED 융합기술 개발 | 서울아산병원 | 박도현 |
2 | 하이브리드 모드로 자동혈당 조절 가능한 일회용 웨어러블 인공췌장 펌프 개발 | 이오플로우 주식회사 | 김재진 |
3 | 나노융합 전자빔 기반 자외선 C 플랫폼 기술 개발 | 경희대학교 | 박규창 |
4 | 자율주행차량용 저조도·고감도 근적외선센서 핵심기술 개발 | 포항공과대학교 | 백창기 |
5 | 안전하고 활용도 높은 환경적응형 고층빌딩 외벽청소 로봇 기획 연구 | 한양대학교 | 서태원 |
6 | 광흡수층을 포함하는 광감응 자동 색변환 스마트 윈도우 개발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한치환 |
7 | 실내 환경 내 위해 미생물 및 바이러스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광주과학기술원 | 김민곤 |
8 | 반투과 및 색상구현이 자유로운 디지털 사이니지 태양전지 개발 | 중앙대학교 | 홍종인 |
9 | 콘크리트 건축물 제작을 위한 3D프린터 장비 및 소재 개발 | 한양대학교 | 조병완 |
10 | 3차원 테라헤르츠 비파괴 검사시스템 상용 기술 개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박경현 |
ㅇ “향후 개방형 크라우드 기획 방식을 적용하는 연구과제를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한편, 미래선도기술개발사업은 경쟁형 연구개발(R&D) 방식으로 진행되며, 신시장창출형사업 선(先)기획연구가 종료된 이후 본연구 단계에 진입할 4개 내외 과제를 올해 10월경 선정할 계획이다.
□
전체 159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159 |
포스텍, 반도체 표면가공 기술로 친환경 열전기술 상용화 앞당겨
baekck
|
2023.11.29
|
추천 1
|
조회 1459
|
baekck | 2023.11.29 | 1 | 1459 |
158 |
포스텍, 열전 반도체에 실리콘 활용기술 개발
baekck
|
2023.11.29
|
추천 1
|
조회 1359
|
baekck | 2023.11.29 | 1 | 1359 |
157 |
포스텍 연구팀 반도체 표면 가공 기술로 친환경 열전기술 상용화 앞당겨
baekck
|
2023.11.29
|
추천 0
|
조회 1325
|
baekck | 2023.11.29 | 0 | 1325 |
156 |
포스텍, 실리콘 기반 친환경 열전 반도체 소재 개발
baekck
|
2023.11.29
|
추천 0
|
조회 1436
|
baekck | 2023.11.29 | 0 | 1436 |
155 |
POSTECH 연구팀, 반도체 표면 가공 기술로 친환경 열전기술 상용화 앞당겨
baekck
|
2023.11.29
|
추천 0
|
조회 1231
|
baekck | 2023.11.29 | 0 | 1231 |
154 |
POSTECH 백창기 교수 연구팀, 고감도 경량화 불산 검출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1225
|
baekck | 2023.07.20 | 0 | 1225 |
153 |
POSTECH 백창기 교수 연구팀, 고감도 경량화 불산 검출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1066
|
baekck | 2023.07.20 | 0 | 1066 |
152 |
뼈 녹일 수 있는 '불산' 감지하는 고감도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1570
|
baekck | 2023.07.20 | 0 | 1570 |
151 |
되풀이되는 악몽... '죽음의 가스'를 막아라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1256
|
baekck | 2023.07.20 | 0 | 1256 |
150 |
POSTECH 백창기 교수 연구팀, 고감도 경량화 불산 검출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1302
|
baekck | 2023.07.20 | 0 | 1302 |
149 |
POSTECH 백창기 교수 연구팀, 고감도 경량화 불산 검출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632
|
baekck | 2023.07.20 | 0 | 632 |
148 |
반복되는 가스누출 악몽 지운다…포스텍, 초미량 ‘불산’ 잡아내는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532
|
baekck | 2023.07.20 | 0 | 532 |
147 |
죽음의 가스 막아라…고감도 초경량 불산 검출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649
|
baekck | 2023.07.20 | 0 | 649 |
146 |
죽음의 가스...불산 감지 초경량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659
|
baekck | 2023.07.20 | 0 | 659 |
145 |
포스텍, 초경량·고감도 불산 검출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562
|
baekck | 2023.07.20 | 0 | 5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