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분야간 연구 장벽 허문다…융합 R&D 활성화

작성자
baekck
작성일
2018-05-25 12:10
조회
1196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5/24/0200000000AKR20180524043800017.HTML?input=1195m

과학기술 분야간 연구 장벽 허문다…융합 R&D 활성화

과기정통부, 제3차 기본계획 수립…"10년내 혁신역량 세계 10위"

(서울=연합뉴스) 최현석 기자 = 정부가 과학기술 분야 간 장벽 없이 연구자와 국민, 기업이 모두 참여하는 융합연구 생태계를 조성해 2027년까지 국가혁신역량을 세계 10위 수준으로 높이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4일 수원시 광교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에서 이러한 내용이 담긴 '제3차 융합연구개발 활성화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공청회를 개최했다.

이번 계획은 2027년까지 10년간 노화대응, 우주생성·유지 원리 규명, 기후조절 등 인류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는 개척형 연구를 융합적 방법으로 시도함으로써 고부가가치 영역을 개척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수요자와 연구자 간 협업 강화로 국민 생활 문제를 해결할 국민 체감형 융합해법을 제시하고, 산업현장 수요에 기반을 둔 혁신성장동력 후보군을 도출해 인큐베이팅(창업보육)할 계획이다.

또, 주요 과학기술 단체를 중심으로 도전과제(Big Idea)를 발굴하고 도전적 공동연구에 대한 장기 지원을 확대키로 했다.

도전적 융합연구를 촉진하기 위해 문제 해결 중심의 융합기획을 강화하고 대학의 집단연구 과제를 2배로 확대할 계획이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다부처협력특별위원회를 개편해 부처간 융합연구 추진방향을 총괄·조정하는 역할을 부여한다.

연구자와 기관 간 정기적 협업 공간을 마련하고 혁신적 문제 해결을 위한 '융합협력센터'(Co&Co Center)도 운영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작년 세계경제포럼(WEF) 평가에서 18위였던 국가 혁신역량을 10위로 높인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번 계획은 공청회 의견을 반영해 다음 달 다부처협력특별위에서 확정될 예정이다.

관련 예산은 7천억 원으로 종전보다 2천억 원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과기정통부가 작년 2차례 설문조사 결과 융합연구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가 47%였으며 이들 중 연구가 성공적으로 진행됐다는 답변이 83%에 달했다. 융합연구가 필요한 이유로는 '새로운 문제 해결 방법 탐색'(36.5%)을, 저해 요인으로는 '타 분야 연구자와 교류경험 부족'(25%)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날 공청회에는 청년 과학기술인, 산학연 연구자 등 160여 명이 참석했다.

비디오 인공지능 기술 기업 비닷두(V.DO)의 이상국 대표와 강단비 성균관대 삼성융합의과학원 선임연구원, 김기현 포항공대 창의IT융합공학과 연구교수 등 청년과학기술인이 융합연구 도전 사례를 발표했으며, 이진규 과기정통부 제1차관과 청년과학기술인 5명의 토크 콘서트가 이어졌다.

이 차관은 "기본계획이 융합의 실체를 연구현장에 확산하는 출발점"이라며 "연구자가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융합연구 생태계 활성화를 통해 혁신성장을 이끌고, 국민 생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계부처와 함께 기본계획 내용을 적극적으로 실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융합연구개발 활성화 기본계획 추진방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harrison@yna.co.kr

 
전체 159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159
포스텍, 반도체 표면가공 기술로 친환경 열전기술 상용화 앞당겨
baekck | 2023.11.29 | 추천 1 | 조회 1459
baekck 2023.11.29 1 1459
158
포스텍, 열전 반도체에 실리콘 활용기술 개발
baekck | 2023.11.29 | 추천 1 | 조회 1360
baekck 2023.11.29 1 1360
157
포스텍 연구팀 반도체 표면 가공 기술로 친환경 열전기술 상용화 앞당겨
baekck | 2023.11.29 | 추천 0 | 조회 1325
baekck 2023.11.29 0 1325
156
포스텍, 실리콘 기반 친환경 열전 반도체 소재 개발
baekck | 2023.11.29 | 추천 0 | 조회 1436
baekck 2023.11.29 0 1436
155
POSTECH 연구팀, 반도체 표면 가공 기술로 친환경 열전기술 상용화 앞당겨
baekck | 2023.11.29 | 추천 0 | 조회 1231
baekck 2023.11.29 0 1231
154
POSTECH 백창기 교수 연구팀, 고감도 경량화 불산 검출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1225
baekck 2023.07.20 0 1225
153
POSTECH 백창기 교수 연구팀, 고감도 경량화 불산 검출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1067
baekck 2023.07.20 0 1067
152
뼈 녹일 수 있는 '불산' 감지하는 고감도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1570
baekck 2023.07.20 0 1570
151
되풀이되는 악몽... '죽음의 가스'를 막아라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1256
baekck 2023.07.20 0 1256
150
POSTECH 백창기 교수 연구팀, 고감도 경량화 불산 검출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1302
baekck 2023.07.20 0 1302
149
POSTECH 백창기 교수 연구팀, 고감도 경량화 불산 검출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632
baekck 2023.07.20 0 632
148
반복되는 가스누출 악몽 지운다…포스텍, 초미량 ‘불산’ 잡아내는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533
baekck 2023.07.20 0 533
147
죽음의 가스 막아라…고감도 초경량 불산 검출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651
baekck 2023.07.20 0 651
146
죽음의 가스...불산 감지 초경량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660
baekck 2023.07.20 0 660
145
포스텍, 초경량·고감도 불산 검출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563
baekck 2023.07.20 0 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