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뉴스] 폐열 반도체로 전기 생산..화력발전 대체
작성자
baekck
작성일
2019-04-09 13:10
조회
1802
[MBC뉴스] 폐열 반도체로 전기 생산..화력발전 대체
http://andongmbc.co.kr/adboard/NewsView37780
http://www.dgmbc.com/new/news/view2.do?nav=news&selectedId=221862&class_code1=040000&news_cate=
http://www.usmbc.co.kr/news/detail.tc?mn=808&pageSeq=612&pageIndex=1&idx=192747
◀ANC▶
버려지는 산업 폐열을 반도체를 이용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신기술을 포스텍 연구진이 개발했습니다.
국내 버려지는 폐열의 10%만 전기로 바꿔도 국내 화력 발전의 1/4을 대체할 수 있어 미세먼지 저감에 큰 효과가 기대됩니다.
이규설 기잡니다.
◀VCR▶
폐열로 전기를 생산하는 실험 설비 입니다.
바람을 불어 넣으면 반도체에 200도가 넘는 온도차가 생기고 이 온도차를 활용해 시간당 500W의 전기가 생산 됩니다.
선풍기 30대를 돌릴 수 있는 양입니다.
이 설비의 핵심 기술은 열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는 반도체인 '열전소자' 입니다.
포스텍 연구팀은 세계 최초로 반도체 공정을 이용해 싼값에 대량 생산이 가능한 '고성능 실리콘 나노선 열전소자' 를 개발했습니다.
◀INT▶ 백창기 교수/포스텍 창의 IT융합공학과
"저희가 실리콘과 반도체 공정을 이용해서 저가 대량 생산하는 이런 기술을 만들어 낸다면 향후에 10%정도 회수율을 가져왔을때 산업전체를 가져온다면 화력발전을 어느정도 대체할 수 있는"
산업용 폐열은 제철소와 열병합발전 ,소각장 등 우리나라 170여 사업장에서 나오고 있는데,
2013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전체 폐열 생산량5839 TOE 가운데 15%만 활용되고 나머지는 버려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연구진은 버려지는 폐열 가운데 10%만 전기에너지로 바꿔도 우리나라 전체 화력발전의 25%에 해당하는 58테라와트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포스텍 연구진은 앞으로 제철소 등에서 버려지는 폐열 에너지를 활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실증 연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 연구 결과는 최근 나노분야의 세계적 권위지인 나노 레터스(Nano Letters)지에 실렸습니다.
mbc뉴스 이규설 입니다.
http://andongmbc.co.kr/adboard/NewsView37780
http://www.dgmbc.com/new/news/view2.do?nav=news&selectedId=221862&class_code1=040000&news_cate=
http://www.usmbc.co.kr/news/detail.tc?mn=808&pageSeq=612&pageIndex=1&idx=192747
◀ANC▶
버려지는 산업 폐열을 반도체를 이용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신기술을 포스텍 연구진이 개발했습니다.
국내 버려지는 폐열의 10%만 전기로 바꿔도 국내 화력 발전의 1/4을 대체할 수 있어 미세먼지 저감에 큰 효과가 기대됩니다.
이규설 기잡니다.
◀VCR▶
폐열로 전기를 생산하는 실험 설비 입니다.
바람을 불어 넣으면 반도체에 200도가 넘는 온도차가 생기고 이 온도차를 활용해 시간당 500W의 전기가 생산 됩니다.
선풍기 30대를 돌릴 수 있는 양입니다.
이 설비의 핵심 기술은 열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는 반도체인 '열전소자' 입니다.
포스텍 연구팀은 세계 최초로 반도체 공정을 이용해 싼값에 대량 생산이 가능한 '고성능 실리콘 나노선 열전소자' 를 개발했습니다.
◀INT▶ 백창기 교수/포스텍 창의 IT융합공학과
"저희가 실리콘과 반도체 공정을 이용해서 저가 대량 생산하는 이런 기술을 만들어 낸다면 향후에 10%정도 회수율을 가져왔을때 산업전체를 가져온다면 화력발전을 어느정도 대체할 수 있는"
산업용 폐열은 제철소와 열병합발전 ,소각장 등 우리나라 170여 사업장에서 나오고 있는데,
2013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전체 폐열 생산량5839 TOE 가운데 15%만 활용되고 나머지는 버려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연구진은 버려지는 폐열 가운데 10%만 전기에너지로 바꿔도 우리나라 전체 화력발전의 25%에 해당하는 58테라와트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포스텍 연구진은 앞으로 제철소 등에서 버려지는 폐열 에너지를 활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실증 연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 연구 결과는 최근 나노분야의 세계적 권위지인 나노 레터스(Nano Letters)지에 실렸습니다.
mbc뉴스 이규설 입니다.
전체 159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159 |
포스텍, 반도체 표면가공 기술로 친환경 열전기술 상용화 앞당겨
baekck
|
2023.11.29
|
추천 1
|
조회 1445
|
baekck | 2023.11.29 | 1 | 1445 |
158 |
포스텍, 열전 반도체에 실리콘 활용기술 개발
baekck
|
2023.11.29
|
추천 1
|
조회 1333
|
baekck | 2023.11.29 | 1 | 1333 |
157 |
포스텍 연구팀 반도체 표면 가공 기술로 친환경 열전기술 상용화 앞당겨
baekck
|
2023.11.29
|
추천 0
|
조회 1311
|
baekck | 2023.11.29 | 0 | 1311 |
156 |
포스텍, 실리콘 기반 친환경 열전 반도체 소재 개발
baekck
|
2023.11.29
|
추천 0
|
조회 1414
|
baekck | 2023.11.29 | 0 | 1414 |
155 |
POSTECH 연구팀, 반도체 표면 가공 기술로 친환경 열전기술 상용화 앞당겨
baekck
|
2023.11.29
|
추천 0
|
조회 1213
|
baekck | 2023.11.29 | 0 | 1213 |
154 |
POSTECH 백창기 교수 연구팀, 고감도 경량화 불산 검출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1205
|
baekck | 2023.07.20 | 0 | 1205 |
153 |
POSTECH 백창기 교수 연구팀, 고감도 경량화 불산 검출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1048
|
baekck | 2023.07.20 | 0 | 1048 |
152 |
뼈 녹일 수 있는 '불산' 감지하는 고감도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1553
|
baekck | 2023.07.20 | 0 | 1553 |
151 |
되풀이되는 악몽... '죽음의 가스'를 막아라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1239
|
baekck | 2023.07.20 | 0 | 1239 |
150 |
POSTECH 백창기 교수 연구팀, 고감도 경량화 불산 검출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1283
|
baekck | 2023.07.20 | 0 | 1283 |
149 |
POSTECH 백창기 교수 연구팀, 고감도 경량화 불산 검출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619
|
baekck | 2023.07.20 | 0 | 619 |
148 |
반복되는 가스누출 악몽 지운다…포스텍, 초미량 ‘불산’ 잡아내는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523
|
baekck | 2023.07.20 | 0 | 523 |
147 |
죽음의 가스 막아라…고감도 초경량 불산 검출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638
|
baekck | 2023.07.20 | 0 | 638 |
146 |
죽음의 가스...불산 감지 초경량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640
|
baekck | 2023.07.20 | 0 | 640 |
145 |
포스텍, 초경량·고감도 불산 검출 센서 개발
baekck
|
2023.07.20
|
추천 0
|
조회 549
|
baekck | 2023.07.20 | 0 | 549 |